-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관계형 데이터 연산2025년 03월 09일
- Song hyun
- 작성자
- 2025.03.09.:52
728x90반응형[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관계형 데이터 연산
1. 관계형 데이터 연산
-사용자 관점에서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를 다양한 릴레이션에서 추출할 방법이 필요
=> 관계 대수(Realtional Algebra)를 통해 제공함
=> 단항 연산자(Unary Operator)와 이항 연산자(Binary Operator)로 구성
2. 기본 연산자
(1) 셀렉트(Select) 연산자
-릴레이션에서 조건을 만족하는 레코드들을 선택해 출력한다.
(2) 프로젝트(Project) 연산자
-릴레이션을 재구성하기 위한 연산자.
(3) 집합(Set Theory)
-합집합, 교집합, 차집합을 출력하는 연산자.
-집합 연산자는 다른 연산자들과 달리 호환 가능한 릴레이션(Compatible Relation)에만 사용이 가능하다.
*집합 연산자 사용 조건
- 두 릴레이션의 컬럼 수는 같아야 한다.
- 두 릴레이션의 도메인이 서로 동일해야 한다.
(4) 리네임(Rename) 연산자
-관계 대수식에 새로운 이름을 부여하는 연산자.
(5) 카티션 프로덕트(Cartesian Product)
-서로 다른 두 릴레이션의 레코드 간에 모든 조합을 취해 결합한 레코드를 생산하는 연산자.
(6) 조인(Join) 연산자
-두 릴레이션으로부터 서로 관련된 레코드만 결합해 결과 집합에 포함시키는 연산자.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시키는 카티션 프로덕트와 유사하나, 조인은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조합만 결과에 포함시킴!
*동등 조인(Equi Join)이란?
3. 확장 연산자
(1) 자연 조인 연산자
-카티션 프로덕트가 사용된 복잡한 관계 대수식을 간단히 만들 때 사용된다.
-동등 조인을 보다 간결히 표현할 수 있다.
(2) 할당 연산자
-관계 대수식의 결과를 임시적으로 릴레이션 변수에 저장시킨다.
(3) 집계 함수 연산(Aggregate Function)
-집계를 통해 얻은 수치를 릴레이션에 포함시킨다.
728x90반응형'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의 구조 (0) 2025.03.08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세 가지 제약 조건 (0) 2025.03.07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ER 모델 (0) 2025.03.06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0) 2025.03.05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DBMS 아키텍처 (0) 2025.03.04 다음글이전글이전 글이 없습니다.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