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ER 모델2025년 03월 06일
- Song hyun
- 작성자
- 2025.03.06.:15
728x90반응형[데이터베이스 시스템] ER 모델
1. ER 모델
-ER 모델(Entity Relationship) / 개체-관계 모델은 1976년 첸 박사가 제안했으며, 전체적인 DB의 논리적 구조를 표현하는 모델링 도구이다.
-현재까지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의 대표적인 방법으로 사용됨.
-실세계의 조직 업무의 의미와 상호작용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데 매우 유용함
-크게 개체 집합, 관계 집합, 속성으로 구성된다.
2. 개체 집합
(1) 개체(Entity): ER 모델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로, 실세계에 존재하는 다른 모든 개체와 구별되는 유무형의 대상을 표현함. 일부 속성은 개체를 유일하게 구별하는 역할을 한다.
(2) 개체 집합(Entity Set): 개체들의 모임. 같은 속성을 공유하는 개체들로 구성됨.
(3) 값(Value): 각 개체는 속성에 대한 값을 지닌다.
(4) 키와 도메인(Key, Domain): 키는 모든 개체를 고유하게 구분하는 값이다. 도메인은 속성이 가질 수 있는 모든 가능한 값들의 범위를 뜻한다.
3. 관계 집합
(1) 관계(Relationship): 개체들간의 연관성을 의미한다.
(2) 관계 인스턴스(Relationship Instance): 개체를 연결시키는 특정 관계
(3) 관계 집합(Relationship set): 같은 유형의 관계 인스턴스들의 집합
4. 속성
(1) 단순 속성: 가장 작은 단위의 속성
(2) 복합 속성: 더 작은 의미의 속성으로 나뉘어질 수 있는 속성
(3) 단일값 속성: 한 개체가 특정 속성에 단 하나의 속성만 지니는 것
(4) 다중값 속성: 속성값으로 여러 개의 값을 가지는 것
(5) 유도 속성: 다른 속성값으로부터 유도되어 결정되는 속성값
(6) 저장 속성: 실제 값을 저장해야만 의미가 유지되는 속성
728x90반응형'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의 구조 (0) 2025.03.08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세 가지 제약 조건 (0) 2025.03.07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0) 2025.03.05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DBMS 아키텍처 (0) 2025.03.04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DBMS의 구조와 언어 (0) 2025.03.03 다음글이전글이전 글이 없습니다.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