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공지능] 인공지능의 의미와 역사Song hyun[인공지능] 인공지능의 의미와 역사 1. 생각하는 컴퓨터앨런 튜링의 튜링 테스트(이미테이션 게임)(1950년): 사람인지 컴퓨터인지 알 수 없게 가려진 상대방과 대화해, 상대방이 인간인지 구분해내는 것조셉 와이젠바움의 ELIZA(1966): 챗봇 형태의 자연언어 처리 프로그램. 마치 사람과 대화하는 것처럼 느낄 수 있게 구현하는 것에 성공함IBM의 딥블루(1996-1997): 체스 챔피언인 가리 카스파로프와 체스 컴퓨터 딥블루의 대별. 2승 3무 1패로 딥블루가 승리하게 됨IBM의 왓슨(2011): 퀴즈쇼 '제퍼디!'에 출연해 퀴즈 달인 켄 제닝스, 브래드 러터와 대결. IBM의 퀴즈 컴퓨터 왓슨이 우승구글 딥마인드의 알파고(2016): 바둑 프로기사 이세돌과 알파고의 바둑 대결. 이세돌 9단이 1승 4..
- 2025-03-18 19:41:08
- [알고리즘] 점근성능Song hyun[알고리즘] 점근성능 1. 점근성능(Asymptotic Performance)-입력 크기에 따라 알고리즘의 성능도 변하기 때문에, 입력 크기 n이 충분히 큰 상태를 전제로 성능을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입력크기 n이 무한히 커짐에 따라 결정되는 성능을 점근 성능이라고 부른다.-알고리즘 간의 우열을 평가할 때는 입력 크기 n의 차수만을 표기한다.-수행시간은 최고 차수를 가진 항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아 결정된다. 따라서 최고차항만을 계수 없이 단순화한 형태로 성능을 표현한다. -> 알고리즘간의 우열을 따질 때 유용하다.-> 점근성능 표기법으로는 O(Big-Oh 빅-오)표기가 대표적이다. 2. 점근성능 표기법-점근성능을 표기하는 방법으로는 주로 O(Big-Oh), Ω(Big-Omega), Θ(Big..
- 2025-03-17 19:23:49
- [알고리즘] 알고리즘 분석Song hyun[알고리즘] 알고리즘 분석 알고리즘을 설계한 뒤에는 알고리즘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분석해야 한다. 알고리즘 분석은 크게 정확성 분석과 효율성 분석으로 나뉜다. 1. 정확성 분석-정확한 알고리즘은 유효한 입력이 주어졌을 때, 유한 시간 내에 정확한 결과를 생성해야 함-정확성 분석은 수학적 기법을 사용해 알고리즘이 예상대로 동작하는지를 증명하는 과정임 2. 효율성 분석-효율성 분석은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데 얼마나 많은 컴퓨터 자원이 필요한지를 평가하는 과정임-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데 드는 시간적/공간적 비용을 분석하게 되며, 이를 각각 시간 복잡도/공간 복잡도라고 부른다. (1) 공간 복잡도(Space complexity)-알고리즘 수행에 필요한 총 메모리 양-컴파일 과정에서 결정되는 정적 공간/실행 과정에..
- 2025-03-16 19:11:37
- [알고리즘] 동적 프로그래밍 방법Song hyun[알고리즘] 동적 프로그래밍 방법 -알고리즘의 대표적인 설계 기법으로는 욕심쟁이 방법, 분할정복 방법, 동적 프로그래밍 방법이 있다. 1. 동적 프로그래밍 방법(Dynamic Programming)-동적 프로그래밍 방법은 입력의 크기가 가장 작은 부분 문제부터 해를 구해 저장해두고, 이를 이용해서 입력 크기가 보다 큰 문제의 해를 점진적으로 만드는 상향식 접근 방법이다.-작은 문제들은 서로 독립일 필요가 없다.-따라서 한 번 사용한 작은 문제의 해가 다음에 또 사용될 수도 있다.-욕심쟁이 방법과 마찬가지로 최솟값/최댓값을 찾는 최적화 문제에 주로 사용된다. -> 플로이드 알고리즘 역시 동적 프로그래밍이 적용된 알고리즘!
- 2025-03-15 19:00:03
스킨 업데이트 안내
현재 이용하고 계신 스킨의 버전보다 더 높은 최신 버전이 감지 되었습니다. 최신버전 스킨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하시겠습니까?
("아니오" 를 선택할 시 30일 동안 최신 버전이 감지되어도 모달 창이 표시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