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산수학] 알고리즘 언어2025년 03월 07일
- Song hyun
- 작성자
- 2025.03.07.:32
728x90반응형[이산수학] 알고리즘 언어
-컴퓨터 과학자들은 문제의 해결 방법을 알고리즘을 통해 서술한다. 자연어의 모호성은 알고리즘을 서술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로 인해 다른 대안 세 가지가 주로 사용된다.
-주로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 순서도, 의사코드를 통해 알고리즘이 서술된다.
1.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
-컴퓨터의 동작을 기술한 언어
-컴퓨터를 이용한 문제 해결 방법 기술에 있어 가장 정확하다.
-하지만 알고리즘의 중요한 핵심요소가 잘 드러나지 않고, 이해하기 어려우며, 부차적인 표현에 신경을 써야 하고, 통일된 언어가 없어 잘 쓰이지 않는다.
2. 순서도(Flow chart)
-알고리즘의 작동 방식을 도식화해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좋은 도구로 여겨지지는 않는다. 너무 많은 자유를 허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3.의사 코드(Pseudo code)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 문법에 따른 것이 아닌, 일반적인 언어로 프로그래밍 언어를 흉내낸 것.
-모호한 부분은 프로그래밍 언어 문법을 차용해 명확하게, 구체적으로 서술할 필요가 없는 부분은 자연어로 기술한다.
-말 그대로 흉내만 낸 코드를 일컫는다.
*알고리즘을 정확히 표현하기 위해서는 가장 기본적인 구조인 할당문과 제어문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한다.
(1) 할당문: 값을 저장하기 위한 구문.
(2) 제어문: 다시 순차문과 조건문, 반복문으로 나뉜다.
-순차문: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여러개의 구문
-조건문(if/switch): 조건에 따라 실행되거나 실행되지 않는 구문
-반복문(for/while/foreach): 여러번 반복되어 수행되는 구문
728x90반응형'이산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산수학] 모델링과 추상화 (0) 2025.03.05 [이산수학] 이산과 연속 (0) 2025.03.02 다음글이전글이전 글이 없습니다.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