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ava] 9. 증감 연산자와 복합 대입 연산자2024년 04월 11일
- Song hyun
- 작성자
- 2024.04.11.:33
728x90반응형[Java] 9. 증감 연산자와 복합 대입 연산자
1. 증감 연산자 (증가, 감소)
-단항 연산자이다.
-변수의 값을 오직 1을 더하거나, 뺄 때만 사용한다.
-연산자가 항의 앞에 있는지, 뒤에 있는지에 따라 연산 시점과 결과가 달라진다.
-문장의 끝(;)을 기준으로 연산 시점을 생각해야한다.증감 연산자는 위치에 따라 연산 순서와 결과가 바뀐다.
(1) ++ : 증가 연산자. 항의 값에 1을 더한다.
-val=++num;: num 값이 1이 증가한 뒤 변수에 대입.
-val=num++;: val 변수에 기존 num 값을 대입한 뒤 num 값을 1 증가
(2) -- : 감소 연산자. 항의 값에서 1을 뺀다.
-val=--num;: num 값이 1이 감소한 뒤 변수에 대입.
-val=num--;: val 변수에 기존 num 값을 대입한 뒤 num 값을 1 감소-증감연산자를 사용할 때에는 대입연산자(==)를 굳이 안 써도 된다.
(ex: i++ / i=i++)
2. 전위 연산자와 후위 연산자
-아래와 같이 전위 연산자(Prefix Operator)는 이미 연산(+1)이 끝난 시점의 값(=L-Value)을,
후위 연산자(Postfix Operator)는 연산을 시작하기 전의 값(R-Value)을 가지고 있다.
전위 연산자는 수식을 적용하기 전, (1) 값을 먼저 증가시키고 (2) 그 값을 수식에 대입한다.
후위 연산자는 (1) 수식을 적용하고 난 뒤, (2) 그 값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즉, 후위 연산자는 세미콜론(;)을 기준으로, 그 뒤에 동작한다고 볼 수 있다.
3. 복합 대입 연산자(Assignment Operater)
: 대입 연산자와 다른 연산자가 함께 쓰이는 걸 복합 대입 연산자라고 한다.(1) 복합 대입 연산자의 종류
+=: 두 항의 값을 더해 왼쪽 항에 대입한다.
-=: 왼쪽 항에서 오른쪽 항을 빼서, 그 값을 왼쪽에 대입한다.
*=: 두 항을 곱해서 왼쪽 항에 대입한다.
%=: 왼쪽 항을 오른쪽 항으로 나눈다. 그 몫을 왼쪽 항에 대입한다.
/=: 왼쪽 항을 오른쪽 항으로 나눈다. 그 나머지를 왼쪽 항에 대입한다.package basic.ch03; /** * * 복합 대입 연산자란 * 대입 연산자와 다른 연산자가 함께 쓰이는 것. */ public class Operation4_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1=0; num1+=2; System.out.println(num1); int num2=0; num2-=2; System.out.println(num2); int num3=1; num3*=3; System.out.println(num3); int num4=10; num4/=2; System.out.println(num4); int num5=5; num5%=3; System.out.println(num5); }//end of main }//end of class
728x90반응형'Java > 기본 개념 및 클래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11. JDK, JRE, JVM (0) 2024.04.11 [Java] 10. 관계, 논리, 빠른 평가 (0) 2024.04.11 [Java] 8. 항과 연산자(대입,부호,산술) (0) 2024.04.10 [Java] 7. 명령 프롬프트에서 자바 파일 컴파일 하기 (0) 2024.04.10 [Java] 6. 형 변환과 형 변환의 종류 (0) 2024.04.10 다음글이전글이전 글이 없습니다.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