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연] 취직자 인터뷰 및 기업 채용 설명회 정리2024년 06월 13일
- Song hyun
- 작성자
- 2024.06.13.:56
728x90반응형[강연] 취직자 인터뷰 및 기업 채용 설명회 정리
1. 취직자 인터뷰
(1) 취업 준비 팁
- 내가 차별점을 줄 수 있는 부분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체크하고, 그 부분을 강화해보자.
- 프로젝트 진행, 혹은 수업을 들으면서 내가 모르는 게 있다면 적극적으로 물어보자. (to 선생님)
- 팀프로젝트를 할 때, 매일 회의+현황 및 개선해야할 점/개선한 점을 기록->면접때 좋게 봐주심
- 학원 공부 외에도 따로 스터디그룹을 만들어, 기술 공부를 진행함
(2) 면접 팁- 겸손한 태도
- 1분 이상의 자기 소개+두괄식 흐름/별명 (ex: 안녕하세요, ~~한 개발자 ~~입니다!)
- 회사를 꼼꼼히 조사해갈것
- (어떤 일을 하는 회사인지/입사 후에 어떤 일을 하게 되는지/사용하는 툴 등 채용공고&회사사이트 체크)
- 기술블로그+개인프로젝트로 노력 어필하기
- (비전공자) 내가 어떤 방식으로 어떻게 구체적인 노력을 했는지 어필하기. (문서나 깃이 있으면 좋을듯)
(3) *자주 나오는 면접 질문- *협업(팀프로젝트) 시에 어떤 식으로 문제를 해결했는가? (=해결을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가?)
- 개인에 대한 질문
- **이력서에 기반한 질문(가장 많이 나옴)
(4) 신입 개발자로 일할 때의 팁 (실무)- 좋은 이미지 만들기: 일찍 출근하기 / 자리 깨끗하게 정리하기 / 메모하는 습관
- 무조건 기록&정리: 지시사항 / 인수인계 / 회의 / 질문
- 프로젝트에 대한 추가적인 공부: 클라이언트의 요구 / 프로젝트(프로그램) 흐름 파악 / 목표 상기
- *무조건 메모하기, 메모하는 습관 만들기
- Git을 많이 사용하는 만큼 기본적인 기능에 대해 알아두자(브랜치, 커밋, 클론)
- 실무에 들어가게 되면 인텔리제이,웹스톰,D비버 등 다양한 툴을 배우게 됨. (미리 써보는 것도 좋을듯??)
(5) Q&A
(1) 신입으로 들어가려면 어느 정도의 지식이 있어야 하나요?
-> 자바스크립트, SQL, 기본 CS 지식은 있어야 한다.
-> 하지만 신입인 만큼 실력에 대한 기대는 적고, 성실/열심히 일하려는 태도를 중요하게 본다.
(2) 회사에 들어가고 어떤 프로젝트를 하셨나요?
-> 백엔드 과정을 수료했지만 실제로 맡게 된 것은 화면설계(UXUI/프론트엔드)+DB설계(백엔드)
-> 프론트엔드의 일을 맡을 수도 있기 때문에, 어느정도의 프론트엔드(HTML,CSS,JS) 지식을 요구한다.
(3) 개인 프로젝트로는 어떤 걸 하셨나요?
-> (1) 해당 기수의 커뮤니티 사이트와 (2) 자기소개용 사이트.
-> (2)를 통해 프론트엔드의 역량도 어필할 수 있었다.
(4) 인텔리J, 웹스톰, 도커... 전 이런 툴들 잘 모르는데 어쩌죠?
-> 들어간 뒤에 배우면 되니까 크게 지장 x
(5) 비전공자로 취직하셨다고 들었는데, 이 부분을 다들 걱정하시지 않나? 어떻게 해결했나?
-> 스터디그룹을 만들어 공부한 내용을 깃, 노션에 기록함.
-> 강의를 구입해 보며 공부하며 보충하려는 노력
-> 유튜브에서 영상들을 찾아 보며 공부하기도.
-> 근거 만들기: 왜 개발자를 하게 되었나?
=>현재 클라우드학과 석사과정 재학 중(회사에서 배우려는 태도를 좋게 봐줌)
(6) 클라우드 엔지니어가 되기 위해서는 어떤 게 필요한지?
->네트워크 지식/기본배경지식/CS/스크립트 작성 지식
-> 관련 분야에 대해 배우고, 그걸 응용해 프로젝트 만들기 => 면접때 보여드리면 좋아하심
2. 기업 채용 설명회
(1) 솔루션 기업
- 반도체 실사용서 사이트 / 중고책 가격 비교 사이트 등 다양한 사이트들을 만들어, 수수료+광고 수익을 내고 있음.
- 기본적으로 개발팀이 따로 있는 게 아니라, 대표가 아이디어를 내면-> 한 명의 개발자가 그 아이디어를 맡아 풀스택으로 일을 진행하게 된다.
- (바다날씨 https://m.badatime.com/wea_w.html )
- (북프라이스 https://www.bookprice.co.kr/best.jsp)
Q&A
1. 신입개발자에게 바라는 점?
-> 신입이기 때문에 완성된 사람을 바라는 것이 아님. 데려와서 키운다는 마인드.
-> 배우려는 자세+성장하는 속도가 보이면 좋겠다.
-> 개발이 전부가 아닌, 데이터와 관련 전문 지식을 공부하고 응용/보고서 작성을 할 줄 알아야 함.
2. 면접 때 바라는 점?
-> 진짜로 내가 한 부분만 솔직하게 말할 것. (타인의 파트도 자신이 했다고 말하기x)
3. 외국어는 어떤 걸 중요하게 보나?
-> 영어
-> 상하이 가도 영어씀;
(2) VR 훈련 프로그램 제작 기업- 공기업 및 대기업, 교육기관에 VR 교육 훈련 프로그램을 납품
- 월드페이지->언리얼서비스
- 메타버스/H/W개발/네트워크 기반의 교육 시스템
- 신기술을 자체적으로 연구/적용하는 R/D 팀이 있음. 연구를 해나가는 것이 경쟁력
- IDMF 표준화에 힘쓰고 있다.
- 면접 때 제일 중요한 것은 포트폴리오.
- 실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의사소통&서류작성(보고서 작성)
- =개발 능력이 전부는 아니다.
Q&A
1. 신입에게 요구하는 기술스택?
-> 통신/웹기술 필요(백)
-> 양식에 맞게 보고서를 작성하는 능력728x90반응형'📙독서 및 강연 기록 > 강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연] 네이버 SEF2024 후기 (0) 2024.09.07 [강연] 2024.08.07 특강/개발자 로드맵 특강 (0) 2024.08.11 [강연 정리] 2024.07.02/ 국가지원 사업 신청서 특강 기록 (0) 2024.07.02 [강연 기록] 2024.06.26 특강 들은 것들 기록 (0) 2024.07.01 [강연 기록] 2024.06.26 / 멘토링 정리 (0) 2024.07.01 다음글이전글이전 글이 없습니다.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