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ySQL] 1. 데이터베이스란?2024년 05월 28일
- Song hyun
- 작성자
- 2024.05.28.:22
728x90반응형[MySQL] 1. 데이터베이스란?
1. 데이터 베이스의 개념
2. 데이터 베이스의 발전
3. 데이터 베이스의 분류
1. 데이터 베이스의 개념
(1) 데이터 베이스란?
데이터 베이스는 '데이터의 집합' 또는 '데이터의 저장공간'을 의미한다. 이 데이터 베이스를 체계화된 방법으로 데이터를 저장, 관리, 조작하고, 필요한 경우에 데이터를 검색하고 업데이트 등에 운영하는 소프트웨어를 DBMS라고 한다.
*데이터 베이스= 데이터의 저장 공간 그 자체를 의미한다.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소프트웨어)
데이터의 집합을 우리는 파일/엑셀 프로그램을 사용해 데이터의 집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대용량의 데이터를 관리하거나,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접근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파일, 엑셀 프로그램을 DBMS라고 부르지 않는 이유)
(2) DBMS 소프트웨어의 종류
DBMS 제작사 운영체제 기타 MySQL Oracle Unix,Linux,Windows,Mac 오픈소스(무료), 상용 MariaDB MariaDB Unix,Linux,Windows 오픈소스(무료) PostgreSQL PostgreSQL Unix,Linux,Windows,Mac 오픈소스(무료) Oracle Oracle Unix,Linux,Windows 상용시장 점유율 1위 SQL Server Microsoft Windows SQLite SQLite Android,ios 모바일 전용, 오픈소스(무료) (3) DBMS의 특징
-데이터의 무결성: DB 안의 데이터는 오류가 있으면 안 된다.
-데아터의 독립성: DB의 저장소를 바꾸고 구성을 바꾼다고 해도, 응용프로그램 코드는 변경이 되어서는 안 된다.
-보안: 사용자 계정에 따라 데이터 접근을 허가할지 말지를 결정하며, 허가된 사용자라도 서로 각각 다른 권한을 가져야 한다.
-데이터 중복의 최소화
-응용 프로그램 제작 및 수정이 쉬워짐
-데이터의 안전성 향상: DBMS가 제공하는 백업 및 복원 기능으로 데이터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2. 데이터 베이스의 발전
(1) 오프라인으로 관리: 컴퓨터가 없던 시절에는 장표로 관리하였다.
(2) 파일 시스템 이용: 메모장이나 엑셀같은 프로그램을 해 소량의 데이터를 관리하기 시작했다. 데이터가 많아지면서 파일의 크기가 커졌고, 문제 발생 우려가 생기기 시작했다.
(3)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 대량의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하기 위해 DBMS가 나오기 시작했다. DBMS에 데이터를 구축하고 관리하고, 활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언어가 SQL이다.
(4) SQL?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질의어)는 데이터 베이스와 상호 작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준화된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구조화된 질문을 던지는 언어이다.
-데이터 조회: 데이터 베이스에서 특정 데이터를 선택하고, 검색하는 데에 사용된다. SELECT문을 사용해 데이터 베이스에서 원하는 열, 행을 선택할 수 있다.
-데이터 조작: 데이터를 추가, 수정, 삭제하는 데 사용된다. INSERT,UPDATE,DELETE 문을 사용해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다.
-데이터 정의: 데이터 베이스 구조를 정의하거나, 변경할 때 사용된다. CREATE,ALTER,DROP문을 사용해 테이블, 인덱스, 뷰 등의 데이터 베이스 개체를 생성, 수정, 삭제할 수 있다.
-데이터 제어: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된다. GRANT,REVOKE 문을 사용해 사용자에게 권한을 부여하거나 취소할 수 있다.
3. 데이터 베이스의 분류
: 데이터 베이스에는 계층형 DBMS, 망형 DBMS, 관계형 DBMS등이 있다.
(1) 관계형 DBMS(Relational DBMS=RDBMS): RDBMS의 특징은 테이블이라는 최소 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테이블을 살펴보면 행/열로 나뉘어지는데, 행은 row라고 불리며 데이터의 개수와 같다. 열은 Column이라고 불리며 필드라고도 불린다. =>각각의 테이블들을 정의하고, 관계를 맺어 관리하는 시스템!
-RDBMS에서 "도메인"이란 각 열, 속성이 허용하는 값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해당 열에 들어갈 수 있는 값의 종류와 제약 조건을 정의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메인(=범주화 or 제약): 각 열이나 속성이 허용하는 값들을 제한짓는 것이다. (ex: 만약 내가 학점을 a,b,c,d,e만 쓰겠다고 한다면, 도메인을 지정한 것이다.)
-Primary key: 오브젝트의 식별화. 다른 개체와 구별할 수 있게 하는 값 or 구분키. (ex: 주민등록번호, 사원 키)
-Roㅈ(= Record=Tupple): 열 이름-
728x90반응형'MySQL > 기본 개념 및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6. 테이블 생성과 제약 사항 연습 (0) 2024.05.30 [MySQL] 5. 데이터 베이스 모델링 (0) 2024.05.29 [MySQL] 4. 데이터 베이스 구축 절차 (0) 2024.05.29 [MySQL] 3. 데이터 베이스 구축하기 (0) 2024.05.28 [MySQL] 2. 샘플 데이터 구축하기 (0) 2024.05.28 다음글이전글이전 글이 없습니다.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