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utter
[Flutter] 44. Stateless와 Stateful의 생명주기
Song hyun
2024. 11. 14. 10:20
728x90
반응형
[Flutter] 44. Stateless와 Stateful의 생명주기
1. 위젯 생명 주기란?
- Flutter에서 위젯의 생명 주기는 중요한 개념이다. Stateless 위젯과 Stateful 위젯은 동작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각ㄱ각의 생명 주기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1) Stateless 위젯의 생명 주기
- Stateless-Stateful 위젯은 모두 빌드될 때마다 새로 생성된다.
- Stateless 위젯은 build 메서드가 호출되면서 한 번만 생성되고 끝난다.
- Stateful 위젯은 내부적으로 State 객체를 생성하고, 생성된 State 객체는 메모리에 유지되면서 생명 주기를 가진다.
- 한 번 생성된 State는 재사용되며, 필요할 때만 build 메서드가 다시 호출되어 업데이트 된다.
(2) Stateful 위젯의 생명 주기
- Stateful 위젯의 생명주기는 다음과 같은 주요 메서드로 동작한다.
- createState() : Stateful 위젯에서는 createState() 메서드를 통해 State 객체를 생성해야 하며, 전체 생명 주기 중 한 번만 호출된다.
- initState() : State 객체가 생성된 후 호출되며, 위젯 상태를 초기화하는 데 사용된다. 전체 생명 주기 중 한 번만 호출된다.
- build() : initState() 호출 후 호출되며, 개발자가 setState()를 호출하면 build() 메서드가 재호출된다. 호출될 때마다 변경된 상태를 기반으로 변경된 UI를 표현한다.
- dispose(): 위젯 트리에서 제거될 때 호출되며, State 객체가 영구적으로 제거되고, 사용자원이 해제된다.
728x90
반응형